한글날의 역사와 변천 과정

글자 크기

매년 10월 9일이 되면 우리는 한글날을 맞이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날짜가 어떻게 정해졌는지, 또 한글날의 역사가 어떠했는지 잘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글날의 역사와 변천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광고가 표시되면 저희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한글날의 역사와 변천 과정



한글날의 시작, 가갸날의 탄생

1926년, 일제강점기 중에 한글을 기념하는 날이 처음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조선어연구회가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기념하여 11월 4일(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했습니다. ‘가갸날’이라는 이름은 한글을 배울 때 흔히 사용하는 ‘가갸거겨’ 순서에서 착안한 것입니다. 이는 한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우리 고유의 문자를 지키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습니다.

하지만 ‘가갸날’이라는 명칭은 오래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불과 2년 후인 1928년, 이 기념일의 이름은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한글날’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한글의 정체성을 더욱 명확히 하고, 우리 문자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글 창제 기록의 희소성

한글의 창제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세종실록에는 단 두 개의 관련 기록만이 남아있습니다. 첫 번째는 1443년(세종 25년) 12월의 기록으로, “이번 달에 왕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내용입니다. 두 번째는 1446년(세종 28년) 9월의 기록으로, “이번 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이 두 기록 중에서 후자를 기준으로 삼아 한글날을 정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날짜가 명시되어 있지 않아 음력 9월 29일을 기념일로 선택했습니다. 이후 양력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1446년 9월 29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28일이 한글날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맥락을 최대한 존중하면서도 현대적 달력 체계에 맞추려는 노력의 결과였습니다.

10월 9일 한글날의 탄생

현재 우리가 기념하는 10월 9일 한글날이 정해진 것은 1945년입니다. 이는 1940년에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이 발견된 것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해례본 서문에는 “세종 28년 9월 상순”이라는 비교적 구체적인 시기가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 정확한 날짜를 특정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선택하고 이를 양력으로 환산했습니다. 그 결과가 바로 10월 9일, 즉 현재의 한글날입니다. 이 과정은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 맥락에 맞게 조정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북한에서는 ‘조선글날’이라는 이름으로 한글날을 기념하고 있으며, 그 날짜는 1월 15일입니다. 

한글날의 법적 지위 변화

한글날은 1926년부터 기념되어 왔지만, 그 법적 지위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습니다. 1949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이 최초로 제정되면서 한글날은 처음으로 법정공휴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때 한글날은 국경일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당시 국경일은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뿐이었습니다.

1982년에 이르러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한글날은 기념일로 포함되었지만, 여전히 국경일의 지위는 얻지 못했습니다. 

기념일, 국경일, 공휴일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 기념일 : 매년 특정한 사건을 기억하고 축하하는 날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정해집니다.
  • 국경일 : 국가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률로 정한 날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근거합니다.
  • 공휴일 : 공식적으로 쉬는 날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지정됩니다.

이러한 구분은 각 날의 중요성과 사회적 의미를 반영하며, 모든 기념일이나 국경일이 자동으로 공휴일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적 고려와 한글날의 위상 변화

1991년, 한글날은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당시 정부는 ‘공휴일이 많아서 국가 경제에 부담이 된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이 시기는 일부 대기업에서만 주 5일 근무제를 시행하던 때로, 공휴일 축소뿐만 아니라 주 5일제 도입에 대한 사회적 논란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5년, 한글날은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해 마침내 국경일로 승격되었습니다. 이는 한글의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을 국가적 차원에서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7년 후인 2012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한글날은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결정의 배경에는 경제적 고려도 있었습니다. 정부는 한글날의 공휴일 지정이 총 생산 유발 효과 1조 8,442억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8,384억 원, 취업 유발 효과 18,331명, 세수 유발 효과 603억 원 등의 긍정적인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2011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한글날 공휴일 지정에 관한 연구’에 근거한 것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은 3·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입니다. 이 중 제헌절만이 국경일이면서 공휴일이 아닌 유일한 날입니다.

오늘은 한글날의 역사와 변천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글날의 변천 과정은 우리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글을 통해 많은 분들이 한글의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